경제, 사회 시사

尹의 '광화문 시대' 발걸음..'경호·부지' 우려에도 급물살

동션샤인 2022. 3. 11. 16:34

尹의 '광화문 시대' 발걸음..'경호·부지' 우려에도 급물살

김용현 입력 2022. 03. 11. 16:25 수정 2022. 03. 11. 16:28 댓글 3
자동요약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첫 출근지가 ‘광화문 대통령실’이 될 수 있을까. 윤 당선인이 공약으로 내세웠던 ‘대통령 집무실 광화문 이전’을 위한 논의가 급물살을 타고 있다.

김은혜 당선인 대변인은 11일 대통령 집무실을 서울 광화문 정부종합청사로 옮기는 방안과 관련해 “이는 공약으로 (당선인이) 정치개혁 방안 중 하나로 발표 드린 바 있다”며 “대통령실의 정확한 인사 규모가 아직 추계되지 않았기 때문에 층수나 층 위치는 정해진 바 없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민간의 창의와 아이디어를 국정운영에 반영하기 위한 민·관 합동위원회도 정부종합청사 내에 함께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11일 정부서울청사 총리 집무실 모습. 연합뉴스


윤 당선인의 첫 출근지가 청와대가 아닌 정부서울청사가 된다면, 그의 집무실은 기존 국무총리실이 될 가능성이 크다. 정부서울청사 9층에 있는 총리실을 집무실로 쓰고, 4~5개 층을 비서실 등으로 쓰는 방안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 현재 총리는 주 3일 이상 정부세종청사에서 업무를 보기 때문에 총리실을 정부과천청사로 옮기더라도 큰 문제가 없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윤 당선인은 그동안 대통령 비서실을 대폭 축소, 전체 인원의 30%를 줄이겠다고 공언해왔다. 신설하는 ‘대통령실’은 정무와 공보 역할을 담당할 소수 정예 참모와 분야별 민·관 합동위원회가 중심이 될 것으로 보인다. 기존의 청와대 수석비서관과 민정수석실, 영부인을 지원하는 제2부속실은 폐지한다.

분야별 민·관 합동위원회로 대통령실을 전면 개편하면 행정부에서 공무원을 파견받는 것과 동시에 민간에서도 새로운 인재를 받게 된다. 실력 있는 외국인 전문가도 이 위원회에 참여할 전망이다. 윤 당선인 취임 후 새 정부의 국정 운영 핵심 정책은 대부분 이 위원회 결재를 거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 구상이 실현되기까지 가장 큰 난관은 정부서울청사로 들어갈 때 발생하는 경호 문제와 좁은 부지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후보 시절 ‘광화문 집무실’을 약속했다가 경호 문제와 외빈을 맞이할 공간이 마땅치 않다는 등의 이유로 공약을 철회한 바 있다.

윤 당선인은 이에 대통령 경호를 지금보다 더 낮추더라도 광화문 시대를 열고 청와대를 국민에게 돌려줘야 한다는 입장으로 전해졌다.

윤 당선인은 전날 유영민 대통령 비서실장과 이철희 정무수석의 예방을 받은 자리에서 정부서울청사로 나와 근무하겠다는 의지를 거듭 피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수석이 “문재인 정부도 검토하다 실패했다”며 경호상의 문제를 꺼내자 윤 당선인이 “그래도 해야지 어떻게 하겠나. 그것이 국민과 한 약속”이라고 답했다고 한다.

 

옮겨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