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사회 시사

"尹당선인 '임시 거처에 머물더라도 靑은 안 간다' 확고한 의지"

동션샤인 2022. 3. 22. 17:10

"尹당선인 '임시 거처에 머물더라도 靑은 안 간다' 확고한 의지"

정우진 입력 2022. 03. 22. 16:33 수정 2022. 03. 22. 16:37 댓글 197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김용현 전 합참 작전본부장이 20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 열린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 기자회견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임시 거처에 머물더라도 청와대로는 가지 않는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을 둘러싼 논란에도 불구하고 청와대를 집무실로 사용하지 않겠다는 윤 당선인의 의지는 확고한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 이전 태스크포스(TF)’ 경호경비팀장을 맡고 있는 김용현 전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은 22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이같이 설명했다.

김 전 본부장은 “(윤 당선인에게) 통의동에서 근무하는 것이 경호 측면에서 어려움이 있다는 보고를 드렸는데, 당선인이 ‘내가 불편한 건 참을 수 있지만 국민과의 약속을 저버리는 건 참을 수 없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청와대는 21일 안보 공백을 이유로 집무실 이전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이에 윤 당선인 측은 5월 10일 대통령 취임식 이후에도 현재 당선인 사무실이 있는 통의동 금융감독원 연수원에서 집무를 시작하겠다고 배수진을 쳤다.

김 전 본부장은 “분명한 것은 청와대에 안 들어간다는 것”이라며 “통의동에서 근무한다면 비상상황 발생 시 불가피하게 청와대 위기관리센터를 활용할 수밖에 없지만, 그 이외에 다른 청와대 시설은 일절 이용하지 않을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번 주가 골든타임”이라며 “청와대와의 협의가 이번 주 안에 마무리되지 않으면 임기 시작 전에 집무실 이전을 완료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김 전 본부장은 “국방부를 포함한 전체 이전 작업에 2~3개월이 확보돼야 하는데, 이번 주가 지나 협상이 타결되더라도 시기상 집무실 이전을 완료할 수 없다”며 “이번 주까진 협조를 계속 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현 정권의 협조를 못 받으면 통의동 사무실을 사용하면서 이전을 마무리하는 걸 ‘플랜B’로 삼고 있다”며 “5월 10일 오전 05시부로 청와대를 전면 개방하겠다는 국민과의 약속은 그대로 지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난 15일 오후 국방부 청사(왼쪽 사진)와 '청와대 이전 태스크포스'(TF) 업무를 총괄하고 있는 국민의힘 윤한홍 의원과 대통령 경호처장으로 유력한 김용현 전 합참 작전본부장이 집무실 후보지들을 둘러보기 위해 국방부를 방문, 출입절차를 위해 입구에 대기하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김 전 본부장은 특히 청와대가 집무실 이전에 대해 제동을 건 데 대해선 “다음 정부 발목을 잡고 국민의 뜻을 거스르는 대선 불복”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청와대가 최근 잇달아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열고 있는 데 대해서도 “쇼”라고 일축했다. 김 전 본부장은 “북한이 수차례 탄도미사일을 발사하면서 우리 국민의 안전을 위협할 때도 ‘도발’이라고 말 한마디 못하더니 무슨 방사포를 쐈다고 무슨 NSC를 여느냐”며 “NSC가 아니라 쇼”라고 지적했다.

정부·여당이 주장하는 ‘안보 공백’에 대해서도 반박했다. 김 전 본부장은 “3년간 합참에서 한반도 전구 작전을 총괄했던 참모로서 대체 어떤 안보 공백이 있다는 것인지 모르겠다”며 “어떤 안보 위기가 있다는 것인지 구체적으로 나온 이야기도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군사적 위협은 어디에나 있다”며 “중요한 것은 위협에 어떻게 대응하고 대응 능력이 있느냐인데, 미사일 방어를 위한 선제타격(킬체인), 한국형 미사일방어체계(KAMD), 대량응징보복(KMPR) 등 한국형 3축 체계에 대해 지난 5년간 아무런 대책도 강구하지 않은 정권이 안보 공백을 거론할 자격이 있느냐”고 반문했다.

그는 ‘합참 지휘통제실이 제대로 가동되겠느냐’는 일각의 지적에 대해 “합참은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같은 자리에서 대비태세를 유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대통령과 국방장관, 합참의장 등 군 수뇌부가 한곳에 있으면 안보에 취약하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미사일이 청와대만 피해가느냐”며 “(같이 있더라도) 국방부·합참이 단연코 안전하다고 본다”고 반박했다.

김 전 본부장은 “대피시설만 보더라도 청와대는 지하 1층인 반면 국방부는 지하 3층, 합참은 지하 3~4층으로 더 깊이 있고, 건물의 강도도 (청와대보다) 훨씬 강하게 설계돼 있다”며 “또 EMP 방호 능력까지 갖추고 있기 때문에 오히려 안보 측면에서 국방부 청사가 유리하다”고 강조했다.

김 전 본부장은 TF에서 이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경호·보안 사항들을 검토한 것으로 알려졌다. 윤 당선인의 충암고 1년 선배다. 대선 기간엔 선거대책본부에서 안보정책을 총괄했다.

 

옮겨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