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율'의 부동산 법률] 다가구→다세대' 전환시 세대별로 분양권 취득할 수 있나?
이수희 변호사(법무법인 차율) 입력 2022. 02. 07. 15:39 수정 2022. 02. 07. 15:46 댓글 4개
━
따라서 일반적인 재개발·재건축 정비사업구역에서 ‘정비구역 지정 고시일 다음날’ 이후에 다가구주택을 다세대주택으로 전환한 경우는 다세대주택의 각 소유자는 단독 분양권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다만 권리산정 기준일 이후의 전환 다세대라도 분양권이 전면 박탈되는 것은 아니다. 도시정비법상 권리산정 기준일은 말 그대로 권리유무를 판단하는 기준점에 불과하기 때문에 분양권 유무는 권리산정 기준일 당시의 상태에서 판단돼야 한다. 이 경우 개별 분양권이 인정되지 않는 권리산정 기준일 이후의 전환다세대의 경우 종전 다가구주택의 소유자들이 1개의 조합원 지위 및 분양권을 공유하는 형태로 분양권이 인정될 수 있다.
━
대법원은 구분등기는 완료됐으나 건축물대장이 다세대주택으로 전환되지 아니한 사안에서 ‘다가구주택이 다세대주택으로 전환된 경우’의 ‘전환’이란 구 건축물대상의 기재 및 관리 등에 관한 규칙상의 ‘건축물대장의 전환’을 의미한다고 판시하며 해당 토지 등 소유자들은 개별 분양권을 취득할 수 없다고 판시했다.
현행 도시정비법 역시 제77조 제1항 제2조에서 ‘단독주택 또는 다가구주택이 다세대주택으로 전환되는 경우’라고만 명시하고 별도로 구분등기 등을 요구하고 있지 아니한 바 위 대법원 판례에 비추어 볼 때 다세대주택으로의 전환 시점은 건축물대장을 기준으로 판단하는 것이 적합하다.
━
재정비 촉진사업의 경우 일반적인 도시정비법상 재개발·재건축 사업과는 달리 특별법인 도시재정비 촉진을 위한 특별법(이하 ‘도시재정비법’)이 우선하여 적용되며(도시재정비법 제3조 제1항 참조) 도시재정비법에서 정하지 아니한 부분에 대해 도시정비법의 적용을 받는다.
도시재정비법은 제33조에서 재정비촉진지구의 결정 및 고시일을 권리산정 기준일로 정한다고 명시하고 있는 바 해당 고시일을 기준으로 그 이전에 다세대주택으로 전환이 완료된 경우는 각 다세대주택의 소유자들에게 단독 분양권이 인정될 수 있다.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주인이 "살겠다"며 임대 갱신 거절 후, 몇 달 뒤 '매매'.."불법은 아니다" 판결 (0) | 2022.02.17 |
---|---|
45년 된 잠실5단지 '6800세대' 대단지 된다..7년 만에 50층 재건축안 통과 (0) | 2022.02.16 |
분양 쏟아지는데 청약 열기 '시들'..양극화 전망 (0) | 2022.02.06 |
진작 아내말 들었어야 했는데"..부동산 전문가 10명 중 5명, 올해 집값은 (0) | 2022.01.29 |
임대차 3법'? 임대인 실거주 주장 앞에선 '무용지물'입니다 (0) | 2022.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