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직 부장판사 "공수처 누가 견제하나" '패트' 지정 비판
김종훈 기자 입력 2019.05.02. 13:55
현직 부장판사가 검·경 수사권 조정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설치법안이 패스트트랙 안건으로 지정된 것을 비판했다.
이 부장판사는 패스트트랙 지정을 놓고 "민주주의 원리가 아니다"라고 비판한 문무일 검찰총장의 발언도 옹호했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현직 부장판사가 검·경 수사권 조정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설치법안이 패스트트랙 안건으로 지정된 것을 비판했다. 이 부장판사는 패스트트랙 지정을 놓고 "민주주의 원리가 아니다"라고 비판한 문무일 검찰총장의 발언도 옹호했다.
김태규 부산지방법원 부장판사는 2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공수처 신설을 바라보며'라는 제목의 글을 올렸다. 김 부장판사는 "이른바 공수처란 기관이 생겨날 모양인데 이 기관은 누가 견제하고 통제하느냐"며 "독자적인 수사권에 기소권까지 부여하고 여기에 그 수사의 주된 대상이 고위직 경찰공무원, 검사, 법관이면 이 세 조직은 그 신생조직에 무릎을 꿇어야 한다"고 우려했다.
김 부장판사는 공수처도 결국 정치중립 논란에서 자유로울 수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 부장판사는 "완충장치도 없어 정치적 입김이 그대로 이 수사기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오히려 그 구성에 선출직 공무원인 대통령이나 국회가 상당 부분 관여할 수 있도록 정한 모양이라 정치적 열기의 전도율이 현저히 높다"고 했다.
김 부장판사는 "고위공직자의 부패를 처단한다고 하면 대중은 환호할 수 있으나 이러한 명분에 지나치게 천착하면 다분히 선동적일 수 있다"며 "현재 형사사법제도로는 도저히 힘에 부쳐 별도의 국가기관을 만들지 않으면 안 될 정도로 우리나라의 공직사회가 망가졌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고 했다.
김 부장판사는 문 총장의 발언도 언급했다. 문 총장은 지난 1일 외국 방문 중 대검찰청 대변인을 통해 "현재 국회에서 진행되고 있는 형사사법 제도 논의를 지켜보면서 검찰총장으로서 우려를 금할 수 없다"며 "형사사법 절차는 반드시 민주적 원리에 의해 작동돼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김 부장판사는 "(공수처 설치는) 참으로 중요한 문제인데 충분한 논의도 하지 않고 각 형사사법기관들의 의사도 제대로 반영하지 않았다"며 "이런 와중에 문무일 검찰총장이 그 후과가 무엇이 될지 모르는 상황에서 법조의 어른으로서 보인 용기에 감사한다"고 했다.
옮겨온 글
'정치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文대통령, 오늘부터 조국 임명 가능..여론·檢수사 숙고 (0) | 2019.09.07 |
---|---|
조국 부인 기소에 후폭풍 휩싸인 정치권..국회 가시밭길 예고 (0) | 2019.09.07 |
정홍원 전 총리 “文정부 이대로 가다간 엉망진창” 비판 (0) | 2019.02.23 |
김명수, 침묵 깨고 작심발언.."판사 공격은 부적절" (0) | 2019.02.01 |
김정은의 '아베 패싱'.. 일본 '비핵 3원칙' 깨나 [특파원+] (0) | 2019.01.29 |